2023학년도 대학 편입학 전형 면접대상자 발표 면접고사: 2023.1.31(화) 10:00
2023학년도 신입생을 위한 예비대학 프로그램(미리대학) 수강 안내
학생부종합전형은 학생부를 주된 전형요소로 하는 전형으로, 입학사정관 등이 참여하여 학생부를 중심으로 자기소개서, 교사추천서, 면접 등을 통해 학생을 종합평가하는 전형입니다.
대학입학전형의 간소화 추진 정책에 의하여 제시된 <표준 대입전형 체계>의 전형유형으로 학생부위주 전형 중 교과, 비교과, 면접 등을 주요 전형 요소로 하는 전형을 의미합니다.
학생부종합전형은 입학사정관 등이 참여하여 학생부 비교과를 중심으로 교과, 자기소개서·교사추천서, 면접 등을 통해 학생을 종합 평가하는 전형으로 2008년 도입된 입학사정관제가 2013년 발표된 대입전형간소화 및 대입제도발전방안에 의해 제시된 전형 유형입니다.
구분 | 전형 유형 | 주요 전형 요소 |
---|---|---|
수시 | 학생부위주 |
|
논술 위주 | 논술 등 | |
실기 위주 | 실기 등 (특기 등 증빙 자료 활용 가능) | |
정시 | 수능 위주 | 수능 등 |
실기 위주 | 실기 등 (특기 등 증빙 자료 활용 가능) |
또한 입학사정관제는 대학이 고등학교 교육과정, 대학의 학생선발 방법 등에 전문가를 채용하여 학생의 성적, 개인환경, 잠재력 및 소질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학생을 선발하는 제도를 의미하며, 대학입학사정관제 도입을 통하여 대학은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 대학의 설립이념, 발전전략 및 각 모집단위의 특성을 감안한 학생선발의 자율성을 확보하여 우수학생을 선발할 수 있고, 초․중등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사회적 책무성을 이행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였습니다.
입학사정관제(학생부종합전형)의 확산 및 정착으로 인하여 고교-대학간 연계활동이 강화되었고 대학에서는 모집단위의 특성에 적합한 잠재력 있는 학생을 선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본 대학 모집단위에 적합한 전공적합성, 발전가능성, 인성을 함양한 잠재력 있는 학생을 선발할 뿐만 아니라 국립대학으로서 공교육이 학생의 창의성과 인성 등 다양한 꿈과 끼를 키우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