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후기
일반대학원
외국인 특별전형 신입생 모집요강
2025. 3.
국립 공주대학교
Kongju National University
미래 50년을 준비하는
새로운 전통의 시작!
목 차
<2025학년도 후기 일반대학원 외국인 특별전형 신입생 모집요강>
1. 전형 일정 …………………………………………………………… 1
2. 모집인원 및 모집단위 ………………………………………………1
3. 지원 자격 …………………………………………………………… 4
4. 전형방법 및 전형료………………………………………………… 5
5. 제출 서류 …………………………………………………………… 6
6. 지원 방법 ……………………………………………………………10
7. 합격자 발표 및 등록 ………………………………………………10
8. 지원자 유의사항 ………………………………………………… 11
[부록] 1. 학생생활관 안내 …………………………………………… 12
2. 등록금 및 장학금 안내 …………………………………… 13
3. 외국인 유학생 보험 가입 ………………………………… 15
4. 외국인 유학생 지원 ……………………………………… 15
5. 담당부서 및 학과 연락처 ………………………………… 15
[각종 서식] ……………………………………………………………… 18
- 1 -
2025학년도 후기 외국인 특별전형 일반대학원 신입생 모집 요강
1
전형 일정
구 분
일 정
비 고
원서접수
2025. 4. 14.(월) 09:00 ~
5. 9.(금) 18:00
온라인 접수: 진학어플라이(http://www.jinhakapply.com)
구비서류 제출
2025. 4. 14.(월) 09:00 ~
5. 22.(목) 18:00
등기우편 또는 방문 제출
※ 주소: 충남 공주시 공주대학로 56 국립공주대학교 세종한민족
교육문화센터 207호 국제교류과 (우편번호: 32588)
대학원
고사전형
2025. 6. 10.(화) ~
6. 14.(토)
모집단위별 서류심사(연구계획서, 자기소개서 등) 평가
※ 지원자의 적성과 학업능력 평가
합격자 발표
2025. 6. 30.(월)
국제교류 홈페이지 공고 (https://oia.kongju.ac.kr)
합격자 등록
2025. 7. 중
국제교류 홈페이지 공고 (https://oia.kongju.ac.kr)
※ 납입고지서를 개별 확인․출력 후 납부
※ 등록금 납부 후 표준입학허가서 발급
2
모집인원 및 모집단위
1. 모집인원: 모집단위별로 수학능력을 고려하여 정원 외 선발
2. 모집단위
계 열
석사과정
박사과정
2025학년도
2025학년도
학과명
학과명
공
주
캠
퍼
스
일반과정
(인문․사회계)
국어국문학과
국어국문학과
영어교육학과
영어교육학과
영어영문학과
영어영문학과
교육학과
교육학과
사학과
사학과
지리학과
지리학과
경영학과
경영학과
한문학과
한문교육학과
중어중문학과
금융통상학과
금융통상학과
사회교육학과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과
- 2 -
전자상거래학과
전자상거래학과
역사교육학과
역사교육학과
지리교육학과
지리교육학과
법학과
법학과
국어교육학과
문헌정보교육학과
윤리교육학과
일반과정
(자연계)
응용수학과
응용수학과
물리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화학과
생명과학과
생명과학과
지질환경과학과
지질환경과학과
대기과학과
대기과학과
환경과학과
환경과학과
문화재보존과학과
문화재보존과학과
의류상품학과
컴퓨터과학과
컴퓨터교육학과
물리교육학과
물리교육학과
생물교육학과
생물교육학과
지구과학교육학과
지구과학교육학과
화학교육학과
화학교육학과
간호학과
간호학과
보건행정학과
보건행정학과
응급구조학과
응급구조학과
의료정보학과
의료정보학과
일반과정
(공학계)
게임디자인학과
게임디자인학과
일반과정
(예․체능계)
체육학과
체육교육학과
음악교육학과
미술학과
조형디자인학과
조형디자인학과
만화애니메이션학과
만화애니메이션학과
도자문화융합디자인학과
도자문화융합디자인학과
학과간
협동과정
융합과학과
융합과학과
동양학과
동양학과
한국어교육학과
관광경영학과
관광경영학과
국제관광&한영통번역융복합학과
사회적기업경영학과
AI융합교육학과
AI융합교육학과
문화예술콘텐츠학과
스마트의료웰니스관광학과
지속가능융합에코과학과
지속가능융합에코과학과
- 3 -
계 열
석사과정
박사과정
2025학년도
2025학년도
학과명
학과명
예
산
캠
퍼
스
일반과정
(인문․사회계)
지역사회개발학과
지역사회개발학과
부동산학과
부동산학과
일반과정
(자연계)
조경학과
식물자원학과
식물자원학과
동물자원학과
동물자원학과
원예학과
원예학과
산림과학과
산림과학과
식품영양학과
특수동물학과
외식상품학과
수산과학과
수산과학과
일반과정
(공학계)
식품공학과
식품공학과
농공학과
농공학과
학과간
협동과정
농생명바이오시스템학과
농생명바이오시스템학과
응용생명공학과
응용생명공학과
스마트농업시스템공학과
스마트농업시스템공학과
천
안
캠
퍼
스
일반과정
(공학계)
정보통신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기계공학과
기계공학과
건설환경공학과
건설환경공학과
도시융합시스템공학과
도시융합시스템공학과
화학공학과
화학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신소재공학과
건축학과
건축학과
건축공학과
건축공학과
컴퓨터공학과
컴퓨터공학과
소프트웨어학과
전기전자제어공학과
전기전자제어공학과
환경공학과
환경공학과
산업공학과
산업공학과
광공학과
학과간
협동과정
에너지시스템공학과
에너지시스템공학과
미래융합공학과
미래융합공학과
광공학ㆍ금형공학과
광공학ㆍ금형공학과
지능융합기술공학과
지능융합기술공학과
반도체공학과
- 4 -
3
지원 자격
1. 지원 자격: 아래의 자격을 모두 충족하는 자
1) 국적관련: 본인, 부모 모두가 외국 국적을 소유한 자
※ 지원 학생이 대한민국 고교과정과 상응하는 교육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부모와 학생 모두가
외국 국적을 취득한 경우 인정
※ 대한민국 국적을 포함한 이중 국적자, 무국적자는 불인정(국적은 접수 마감일 기준)
2) 어학능력 기준: 아래 중 하나의 어학능력 기준을 충족하는 자
① 국립국제교육원 한국어능력시험(TOPIK) PBT 또는 IBT 3급 이상 소지자
②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의 정규 한국어 과정 3급 이상 수료자
③ 아래 기준표에 명시된 공인영어성적 중 하나 이상을 소지한 자
시험종류
언어
최소점수(또는 등급)
TOEFL(ibt)
영어
71
TOEFL(cbt)
영어
197
TOEFL(pbt)
영어
530
IELTS
영어
5.5
New TEPS
영어
326
CEFR
영어
B2
TOEIC
영어
700
※ 공통: 공인어학점수는 반드시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 유효기간 이내여야 함. 성적표에 유효기간이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유효기간은 시험일로부터 2년임
④ 국립공주대학교 국제언어교육원에서 실시하는 한국어능력인정시험에 통과한 자
⑤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 3단계 이상 이수자
⑥ 세종학당 한국어과정 중급1 이상 이수자
⑦ 영어를 모국어 또는 법적 공용어로 사용하는 국가의 지원자는 어학요건 면제
※ 아래의 학과는 학과별 어학능력 기준을 반드시 충족해야 함
○ 경영학과, 사회교육학과, 미술학과, 건축학과, 산업공학과
: 국립국제교육원 한국어능력시험(TOPIK) 3급 이상
○ 역사교육학과, 지구과학교육학과, 사회복지학과, 식품영양학과: 1)과 2)를 모두 충족하는 자
1) TOEFL(PBT 530, CBT 197, iBT 71) 또는 IELTS(5.5) 또는 CEFR(B2) 또는 TOEIC(700) 또는
NEW TEPS (326) 이상
2) 국립국제교육원 한국어능력시험(TOPIK) 3급 이상자 또는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의 한국어 과정 3급 이상 수료자
- 5 -
3) 학력조건
○ 석사과정: 국내ㆍ외 정규 4년제 대학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
(2025년 8월 말까지 취득예정자 포함)
○ 박사과정: 국내ㆍ외 정규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2025년 8월 말까지 취득예정자 포함)
2. 지원자격 관련 유의사항
○ 지원자의 하위과정의 전공과 관계없이 지원 가능하나, 동일전공이 아닐 경우 학과에서
지정한 선수과목을 이수해야 함(석사 및 박사: 12학점 이내)
○ 모든 지원자는 이중 지원할 수 없음(캠퍼스 간 이중 지원 포함)
○ 학위취득 예정자는 2025년 8월까지 학위취득자에 한함
※ 최종 학위취득 증명서를 2025. 8. 22.(금)까지 추가 제출하지 않을 경우 입학이 취소됨
4
전형 방법 및 전형료
1. 전형방법: 서류심사
○ 지원자격 적격자를 대상으로 지원자의 자기소개서, 연구계획서 등 서류심사를 통해 전
공과정에 대한 적성 및 수학능력에 관한 사항을 평가
2. 사정원칙
○ 각 모집단위 내에서 서류심사 결과에 따라 선발함
○ 모집단위별 인원 배정 및 사정원칙 등에 관한 세부사항은 대학원위원회에서 결정
3. 전형료: 30,000원
○ 인터넷 원서접수 홈페이지에서 카드결제 또는 계좌이체
※ 전형료 미결제 시 접수 불가
※ 계좌이체 시 입금자와 지원자의 이름이 반드시 동일해야 함
- 6 -
5
제출 서류(지원자 유의사항(p.11) 반드시 확인)
1. 제출 서류
제출 서류
석사
박사
제출 내용
비고
① 구비서류 체크리스트
○
○
구비서류 자체 점검용 체크리스트 작성 및 제출
[서식1]
② 입학지원서
○
○
온라인 접수 후 출력하여 제출
사진(3.5cm*4.5cm, 흰색 바탕) 제출
[서식2]
③ 자기소개서
○
○
자기소개서 작성 제출
[서식3]
④ 연구계획서
○
○
연구계획서 작성 제출
[서식4]
⑤ 어학능력 입증서류
*
○
○
- 공인 어학성적표
※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 유효기간 내 서류만 인정
․ 국립국제교육원 한국어능력시험(TOPIK) 3급 이상 또는
TOEFL(PBT 530, CBT 197, iBT 71), IELTS(5.5), CEFR(B2),
TOEIC(700), NEW TEPS 326 이상 성적표 제출
- 한국어교육기관 정규 한국어 과정 3급 이상 수료(예정)
증명서 및 성적증명서 또는 본교 한국어능력인정시험
합격증명서(해당자에 한함)
-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 이수증 또는
세종학당 수료증(해당자에 한함)
⑥ 석사과정 지원:
학사 졸업(예정) 증명서
및 성적증명서
박사과정 지원:
석사 졸업(예정)증명서 및
성적증명서
○
-
아포스티유 또는 영사확인 받은 최종 학력 입증 서류
아포스티유 또는 영사확인 증명서 원본
☞ [최종 학력 입증 서류] 안내 참고
-
○
⑦ 국적 및 가족관계
입증 서류
○
○
지원자 및 부모의 국적, 지원자와 부모의 관계를 입증
할 수 있는 서류 원본
※ 한국어, 영어 이외의 외국어로 작성된 경우 번역공증 필수
☞ [국적 및 가족관계 입증 서류] 안내 참고
⑧ 지원자 여권 사본
○
○
기간만료 이전의 여권 사본 제출
⑨ 재정능력 입증 서류
○
○
국내 ․외 은행 예금잔고증명서 원본(KRW 1,600만원 이상)
[서식5] 유학경비 부담 서약서 함께 제출
※ 국립공주대학교 국제언어교육원 또는 한민족교육
문화원을 이수한 지원자는 KRW 800만원 이상
☞ [재정능력 입증 서류] 안내 참고
※ 별도 제출기간 반드시 숙지할 것
[서식5]
⑩ 외국인등록증 사본
△
△
외국인등록증 앞ㆍ뒤 사본 제출
(한국 체류 외국인만 해당)
해당자
[서류제출 유의 사항]
- 원본 서류가 한글, 영문이 아닌 외국어로 표기된 경우 한글 또는 영문 번역 및 공증되어야 함
- 기한 내 서류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평가에서 제외(불합격 처리) 됨, 제출기한 연장 불가
- 제출 서류의 기재사항이 허위로 판명되거나 부정한 방법 등으로 합격 또는 입학한 사실이 발견되었을 때
에는 합격 및 입학을 취소하며, 납부한 등록금은 환불하지 않음
- 모든 지원자는 심사에 필요한 서류 등을 추가로 요구한 경우 이에 응해야 함
- 제출된 서류는 반환하지 않음
- 한국어교육기관 수료예정증명서를 제출한 경우, 수료증명서를 2025. 8. 22.(금)까지 제출해야 하며,
미제출시 불합격 처리
- 7 -
* 아래의 학과는 학과별 어학능력 증빙서류를 반드시 제출해야 함
○ 경영학과, 사회교육학과, 미술학과, 건축학과, 산업공학과
- 국립국제교육원 한국어능력시험(TOPIK) 3급 이상 성적표
○ 역사교육학과, 지구과학교육학과, 사회복지학과, 식품영양학과: 1)과 2)를 모두 제출
1) TOEFL(PBT 530, CBT 197, iBT 71) 또는 IELTS(5.5) 또는 CEFR(B2) 또는 TOEIC(700) 또는
NEW TEPS (326) 이상 성적표
2) 국립국제교육원 한국어능력시험(TOPIK) 3급 이상 성적표 또는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교
육기관의 한국어과정 3급 이상 수료(예정)증명서 및 성적증명서
2. [최종 학력 입증 서류] 안내
○ 중국대학 졸업자: 중국 교육부 운영 학력·학위인증센터에서 발행된 인증보고서 제출
구 분
입증내용
제출 서류
(아래 서류 외 불인정)
신입학
석사
학사 졸업 사실
※학사 이상 학력
-(졸업) CHSI(学信网)
또는 CDGDC(学位网)
박사
석사 졸업 사실
※ (참고) 아포스티유, 영사확인 증명서, 중국 교육부 학력인증센터 증명서 견본
아포스티유 증명서
영사확인 증명서
중 국 교 육 부 학 력 인 증 확 인 서 (CHSI)
○ 모든 지원자: 아포스티유 또는 영사확인을 받은 최종 학력 입증 서류(성적, 졸업(예정)증명서)
- 졸업(수료)예정자의 경우, 최종 합격 후 졸업(수료)증명서 원본을 2025. 8. 22.(금)까지 제출해야 함
※ 아포스티유 또는 영사확인 증명서는 반드시 원본이어야 함(스캔본, 사본 불인정)
※ 최종학력 입증서류, 성적증명서는 원본 제출이 원칙이나, 재발급이 불가한 경우에 사본 제출 인정. 이때
사본은 공증 절차 필수 및 아포스티유(또는 영사확인) 증명서가 원본인 경우에만 인정
※ 최종학력 입증서류, 성적증명서에 대한 아포스티유(또는 영사확인) 증명서는 6개월 이내에 발급된 것만
인정(단, 한국에 체류 중인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 최종합격 이후 비자 변경 시 유효 기간이 지나지 않은
최종학력 입증서류·성적증명서에 대한 아포스티유(또는 영사확인) 증명서 별도로 1부 준비할 것)
※ 최종 학력을 한국에서 취득한 경우 아포스티유 또는 영사 확인 불필요
※ 미얀마 대학 출신 지원자의 경우, 최종 학력 입증 서류(졸업 및 성적증명서)에 대한 영사확인 서류는
해당국 상황을 고려하여 입학 후 본 대학에서 별도로 정하는 기한까지 제출 가능
아포스티유 가입국 출신
아포스티유 확인을 받은 학력 입증서류 및 아포스티유 증명서 제출
- 발급기관: 해당국 정부에서 지정한 기관
※ 아포스티유 관련기관 정보: www.hcch.net (Apostille 섹션 참고)
아포스티유 미가입국 출신
영사확인을 받은 학력 입증서류 및 영사확인 증명서 제출
- 발급기관: 해당국 소재 한국영사관, 또는 주한 자국공관
※ 주한 자국공관 확인서 제출 시 해당 내용 명시 필수
- 8 -
< 아포스티유 발급 절차 >
- 공문서(국/공립학교 등)
해당국가
공문서 발급
→
아포스티유
발급기관
방문
→
아포스티유
발급신청
→
아포스티유
발급기관
심사
→
아포스티유
발급
- 사문서(사립학교 등)
해당국가
사문서
발급
→
해당국
공증사무
소 공증
*
→
아포스티유
발급기관
방문
→
아포스티유
발급신청
→
아포스티유
발급기관
심사
→
아포스티유
발급
* 사문서의 경우 해당국가 공증인법 및 변호사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통상 해당국가에서 공증을 받은
후 제출하면 아포스티유 확인 가능
< 아포스티유 가입 국가 현황(2024.6.기준) >
지역
국가/지역
아시아, 대양주
(22개국)
호주, 중국(마카오, 홍콩 포함), 일본, 한국, 뉴질랜드, 브루나이, 몽골, 쿡제도, 피지, 인
도, 마샬군도, 모리셔스, 바누아투, 사모아, 통가, 니우에, 타지키스탄, 팔라우, 필리핀,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유럽
(52개국)
알바니아, 오스트리아, 벨라루스, 벨기에, 보스니아-헤르체코비나,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체코,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조지아, 독일, 몰타, 그리스, 헝가리,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이탈리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모나코, 몬테네그로,
네덜란드, 노르웨이, 폴란드, 포르투갈, 러시아, 루마니아,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튀르키예, 키르키즈스탄, 마케도니아, 우크라이나, 영국, 안도라, 아
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몰도바, 리히텐슈타인, 산마리노,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코소보
북미(2개국)
미국(괌, 마우리제도, 사이판, 푸에르토리코 포함), 캐나다
중남미
(31개국)
아르헨티나, 멕시코, 파나마, 수리남, 베네수엘라, 앤티가바부다, 바하마, 바베이도스, 벨
리즈, 콜롬비아, 도미니카연방, 도미니카공화국,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그라나다, 온두라스,
세인트빈센트, 페루, 트리니다드토바고, 세인트루시아, 세인트키츠네비스, 코스타리카, 우루과이,
니카라과, 파라과이, 브라질, 칠레, 과테말라, 볼리비아, 가이아나, 자메이카
아프리카(14개국)
나미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라이베리아, 레소토, 말라위, 보츠와나, 브룬디, 상투메프린시
페, 세네갈, 세이셸, 에스와티니, 카보베르데, 튀니지, 르완다
중동(5개국)
모로코,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이스라엘
3. [국적 및 가족관계 입증 서류] 안내
○
모든 지원자: 지원자 및 부모의 국적, 지원자와 부모의 관계를 입증할 수 있는 서류 원본
- 원본 서류가 한글, 영문이 아닌 외국어로 표기된 경우 한글 또는 영문 번역 및 공증되어야 함
※ 원본 서류가 한글 또는 영문으로 표기된 경우 원본만 제출
※ 제출일로부터 1년 이내 공증서류만 인정
※ 사본 제출 시 공증서류가 원본이면 인정
- 부모가 사망(이혼)한 경우 사망(이혼)증명서 추가 제출
중국
가족사항이 기재된 호구부 번역 공증원본, 거민증(부모포함) 사본
※ 본인과 가족 호구가 분리된 경우는 친족관계증명서 번역 공증원본 추가 제출
그 외 국가
지원자 및 부모의 국적, 지원자와 부모의 관계를 입증할 수 있는 정부기관 발행 증명서
원본
- 가족관계 입증 서류 예시 -
중국: 호구부 또는 친족관계 공증 / 필리핀: Family Census / 인도네시아: 가족관계증명서(KARTU KELUARGA)
방글라데시: 점머 까꺼즈 또는 점마 싸이드티켓 / 베트남: 호적부(So Ho Khau) 또는 출생증명서(Giay khai sinh)
몽골: 친족관계증명서 / 파키스탄: Family Certificate / 스리랑카: 빠울러 서티피케이트 / 미얀마: 가족관계증명서(잉타웅수사옌) / 네팔:
전마달다 / 키르기즈스탄・카자흐스탄・우즈벡・우크라이나・태국: 출생증명서
- 9 -
4. [재정능력 입증서류] 안내
※제출기간※
- 한국 체류자: 2025.8.11.(월) ~ 2025.8.22.(금)(우편 또는 방문제출, 8.1.이후 발급하여 2부 제출)
- 해외 체류자: 2025.7.7.(월) ~ 2025.7.25.(금)(우편 또는 방문제출, 이메일․사본 제출 불가)
○ 모든 지원자: 국내․외 은행 예금잔고증명서 원본(KRW 1,600만원 이상)
※ 예금잔고증명서는 제출일 기준 30일 이내 발급한 것으로 하되, 유효기간이 있을 경우 유효기간까지
인정함(단, 발급일이 6개월 이내일 것)
※ 통장 거래내역서, 모바일 뱅킹 캡처화면 등 잔고증명서 이외의 서류는 재정입증서류로 인정 불가
※ 재정능력 입증 서류는 본인, 부모(부모가 사망한 경우 형제자매)의 잔고증명서를 제출
※ 대학, 자국 대사관, 종교단체 등으로부터 장학금(수업료 및 체재비)을 받는 학생에 대해서는 해당
기관 발행 학비지원 확인서 등으로 재정 입증서류 대체 가능
※ 대학 본부가 아닌 지도교수가 재정보증을 하는 경우, 피보증 유학생 수는 1인으로 제한(추가 재정
보증은 기존 피보증 유학생이 완전출국하거나, 해당 지도교수가 기존 피보증 유학생의 보증을 철회한
경우에만 허용)
① 재정보증인이 본인일 경우
- 유학경비부담서약서 [서식5]
- 본인의 예금잔고증명서
② 재정보증인이 부모일 경우
- 유학경비부담서약서 [서식5]
- 부모의 예금잔고증명서
③ 재정보증인이 학과 교수의 경우
- 유학경비부담서약서 [서식5]
- 지도교수 재정지원 예정 증명서 [서식6]
※ 기존 피보증 유학생의 보증 철회가 필요한 경우: 국제교류과에 문의
④ 각종 장학생일 경우
해당 기관의 장학금 지급예정 증명서
※ 장학금 총액이 KRW 1,600만원에 상당해야 하며, 미만일 경우 지원
자가 재정능력 입증서류를 추가로 제출해야 함(①, ② 중 한 가지)
※ 등록금 납부 후 비자 발급 신청 시 재외공관 또는 출입국관리사무소에서 은행잔고증명서를 추가로
요구할 수 있으며, 본인 명의의 잔고증명서 요구할 수 있음
- 10 -
6
지원 방법
1. 원서접수
1) 온라인 원서접수 후 서류 우편(또는 방문) 제출
- 사전 준비사항: 인터넷 접속 가능한 PC, 프린터, 지원자 사진 파일(6개월이내사진, 3.5cm×4.5cm)
- 공주대 국제교류 홈페이지(https://oia.kongju.ac.kr) 접속 후 입학 공지사항에서 원서접수 안내 확인
※ 원서접수 웹사이트: 진학어플라이(https://www.jinhakapply.com)
- 접수완료 후 입학지원서 및 제출용 봉투 표지를 출력하여 서류와 함께 제출기한 내 우편(또는 방문) 제출
① 공주대 국제교류
홈페이지 접속
(원서접수 클릭)
➜
② 모집요강과 인터넷
원서접수 유의사항
숙지
➜
③ 원서접수 대행업체 (진
학어플라이) 회원가입 후
로그인
➜
④ 접수 대학에서
국립공주대학교 선
택 후 입학원서 작성
➜
⑤ 입학원서
기재사항 확인
➜ ⑥ 전형료 결제 ➜
⑦ 접수확인 및
제출서류 안내 확인
➜ ⑧ 완료
➜
⑨ 서류제출
(방문 또는 우편발송)
※ 서류 제출: 우)32588 충남 공주시 공주대학로 56 세종한민족교육문화센터 207호 국제교류과
2) 한 개의 모집 단위만 지원 가능(중복 지원 불가)
3) 전형료 결제가 이루어져야 원서 접수가 완료된 것이며, 완료 이후에는 지원학위과정, 지원학과 등
수정 및 취소가 불가하므로 철저히 확인 바람
4) 납부된 전형료는 반환하지 않음
5) 온라인 접수 시 기재하는 본인의 개인정보(주소, 이메일, 전화번호 등) 및 모든 사항은 추후
합격자 발표, 비자서류 발행과 같은 입학절차의 기본 데이터로 사용되므로 정확한 정보를 작성해야 함
※ 원서 접수 시 영문 성명은 반드시 여권 성명과 동일하게 작성해야 함
※ 부정확한 정보를 기재하거나, 정보 변경 후에도 국제교류과에 알리지 않았을 시 발생하는
모든 불이익에 대한 책임은 지원자 본인에게 있음
※ 온라인 원서접수 관련 문의: ㈜진학어플라이 +82-1544-7715
2. 서류 제출
1) 체크리스트[서식1], 입학지원서와 각종 구비서류를 동봉하여 제출
- 제출 마감: 2025. 5. 22.(목) 18:00
- 제출 방법: 우편(국내, 국외), 택배, 직접 방문
- 제출처: (우)32588 충남 공주시 공주대학로 56 세종한민족교육문화센터 207호 국제교류과 외국인
특별전형 원서접수 담당자 앞
2) 제출 기한까지 서류가 도착하지 않거나, 서류가 미비한 경우 불합격 처리함
7
합격자 발표 및 등록
1. 합격자 발표: 2025. 6. 30.(월) 10:00 이후
- 국립공주대학교 국제교류 홈페이지(https://oia.kongju.ac.kr) 공고(개별 연락하지 않음)
2. 등록금 납부: 2025. 7월 중 예정
- 납부 일자 및 방법 등은 대학 홈페이지에 추후 공고
- 표준입학허가서 발급: 모든 서류 제출 및 등록금 납부 후 발급(합격자 이메일로 송부)
- 11 -
8
지원자 유의사항 (반드시 확인)
1. 접수가 완료되면 취소할 수 없으며(전형료는 환불 불가), 지원 학위과정 및 지원학과 등 변경이
불가함
2. 한 개의 학과에만 지원 가능함
3. 사범대학의 학과라 할지라도 교원자격증 취득과는 무관하므로 유의하여 지원
4. 최종학력 증명서, 성적증명서의 경우 원본 제출이 원칙이나 재발급이 불가한 경우 사본 제출 인
정(공증 필수), 단 증명서에 대한 아포스티유 또는 영사확인 절차는 동일하게 적용되며 아포스
티유 또는 영사확인 증명서는 반드시 원본이어야 함
5. 제출 완료된 지원 서류는 반환하지 않으며, 입학전형 성적은 공개하지 않음
6. 전형 기간 중 공지 사항은 개별 통보하지 않고 국제교류 홈페이지 (https://oia.kongju.ac.kr)에 게재
하며, 필요에 따라 지원자에게 연락할 수 있도록 연락처를 정확하게 기재할 것
※ 전형 기간 중 연락처 변동 시 국제교류과(e-mail: intl_admission@kongju.ac.kr)로 통보 요망
7. 입학지원서 및 구비서류의 기재 사항이 허위로 판명되거나 부정한 방법 등으로 합격 또는 입학한 사
실이 발견된 경우 및 학위 조회 결과 인정되지 않는 학위로 확인될 경우 합격 또는 입학을 취소함
8. 합격 후 등록 기간 내 미등록 시 별도의 절차 없이 합격이 취소됨
9. 외국인 유학생은 입국 후 국민건강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함
10. 입학일 이전에 등록 포기를 해야 등록금의 전액을 반환받을 수 있으며, 입학일 이후 자퇴 신청 시
에는 입학일로부터 자퇴일까지 수업일수에 따라 등록금이 감액되어 반환됨
11. 대부분 학과의 수업은 한국어로 진행되며, 영어강의 여부, 수업 시간, 수업 방법 등에 관한 사
항은 해당 학과로 문의
12. 한국어 어학능력 기준으로 입학한 외국인 대학원생은 졸업 전까지 국립국제교육원 한국어능력시험
(TOPIK) 4급 이상을 취득하여야 함
13. 본 모집요강은 영문 등 해석상의 차이가 있을 경우 한국어로 작성된 내용을 기준으로 하며, 기타 본
모집요강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본 대학교의 결정에 따라 처리함
- 12 -
부록
□
1
학생생활관 안내
1) 생활관비 현황
(단위: 원, 2025학년도 1학기 기준)
캠퍼스
생활관
학기당
비 고
식비
관리비
계
공주
은행사(2인실)
858,000
632,200
1,490,200
전일 3식 제공
(의무급식)
홍익사(BTL,2인실)
858,000
882,400
1,740,400
해오름집(BTL,2인실)
858,000
882,400
1,740,400
비전하우스(1인실)
943,800
1,069,200
2,013,000
비전하우스(2인실)
943,800
648,000
1,591,800
드림하우스(BTL,2인실)
975,400
918,700
1,894,100
드림하우스(BTL,3인실)
975,400
918,700
1,894,100
블룸하우스(BTL,2인실)
943,800
936,600
1,880,400
예산
금오사(2인실)
829,400
726,000
1,555,400
전일 2식 제공
(의무급식)
예지사(2인실)
829,400
903,620
1,733,020
청운사(2인실)
829,400
926,000
1,755,400
천안
용주학사(2인실)
480,000
545,120
1,025,120
평일 2식 제공
(의무급식)
챌린지하우스(2인실)
480,000
887,140
1,367,140
도솔학사(2인실)
480,000
1,004,080
1,484,080
※ 학기별 개관 일수에 따라 학기별 생활관비가 다를 수 있으며, 홍익사/해오름집/블룸하우스/금오사/
청운사/도솔학사는 공공요금 보증금 별도 징수
※ 생활관 내․외부 시설의 자세한 사항은 학생생활관 홈페이지(http://dormi.kongju.ac.kr)‘생활관 둘러보기’참고
2) 입실신청 공지 안내: 합격자 발표 후 추가 안내
- 학생생활관 입실신청 기간, 신청방법, 생활관비 납부 등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추후 학생생활관
홈페이지(http://dormi.kongju.ac.kr)‘공지사항’에 게시되는 캠퍼스별‘입실신청 안내문’을 참고
3) 우선입실 대상: 외국인, 재외국민 등
※ 학생생활관 수용가능인원(여석) 보다 우선입실 대상자가 많을 경우 우선입실대상자를 전원 선발할 수
없으며, 입실신청 기간에 신청을 하지 않거나 증빙자료 미제출 또는 누락 시 선발할 수 없음
4) 생활관 연락처(선발관련)
캠퍼스
전화번호
FAX
문의가능 시간
공주캠퍼스
041) 850-0400
041) 850-0404
평일 09:00 ~ 18:00
(점심시간 12:00~13:00 제외)
예산캠퍼스
041) 332-5809
041) 331-1750
천안캠퍼스
041) 521-9703
041) 562-7079
- 13 -
□
2
등록금 및 장학금 안내 <등록금 / 장학금 관련 문의: 041-850-8092 / 8048>
1) 등록금 (단위: 원, 2025학년도 기준)
계 열
인문사회
공학
예체능
자연
지리
입학금
179,000
179,000
179,000
179,000
179,000
수업료
2,201,000
2,936,000
2,936,000
2,690,000
2,679,000
※ 지리계열: 지리교육과
※ 지리학과는‘인문사회’계열로 분류, 지원자 확인 필수
2) 신입생 장학금(첫 학기에만 지급)
- 외국인학생장학금(신입생 전원 지급): 입학금 + 수업료의 60% 지급
- 입학지원금(본교 한국어연수 수료 후 바로 진학자): 100만원 지급/ 첫학기 종료 후 1회
3) 국립공주대학교 4단계 BK21사업 연구장학금
※ 4단계 BK21 사업비는 사업에 참여하는 교수의 대학원생들만을 대상으로 하며, 매학기 사업
참여를 신청한 대학원생 중 별도로 선발
주관학과
(사업단/팀)
사업목적
장학금 수혜대상 및 조건
도시융합
시스템공학
융합전공
(그린인프라
구축을 위한
스마트시티
교육연구단)
문의:
(041)
521-9995
ㅇ 안전성(Safety), 비용효율
성(Cost-effectiveness) 및
지속가능성
(Sustainability)을 가진
지능화(Intelligence) 그린
인프라 생태계가 구축된
스마트시티 전문인력 양성
ㅇ 다양한 분야(환경, 도로,
지반, 구조, 수자원, 교통,
도시계획, IT 등)의 융합적
연구
ㅇ 국제적 역량과 능력을
갖춘 전문인력 양성
■ 해당학과(융합전공*): 건설환경공학과(도시융합시스템공
학융합전공), 도시융합시스템공학과(도시융합시스템공학
융합전공), 컴퓨터공학과(도시융합시스템공학융합전공),
건축공학과(도시융합시스템공학융합전공),
소프트웨어학과(도시융합시스템공학융합전공),
에너지시스템공학과(도시융합시스템공학융합전공)
* 융합전공: 위 건설환경공학과 등 6개의 학과가 참여하여
융복합된 교육내용을 이수하는 전공으로, 관련 규정에
따라 학생은 본래 입학한 학과 소속을 유지하면서 융합전
공 교과목을 별도 이수할 경우 졸업수료학점 범위 내 학
점을 인정하여 학위 취득 가능
ex) 석사 학위 수료학점이 27학점일 경우: 건설환경공학과
(최소 12학점 이수) + 도시융합시스템공학융합전공(15학
점 이상 이수) ⇒ 학위 취득 학과명: 건설환경공학과
(도시융합시스템공학융합전공)
■ 석/박사 과정 학생 장학금 지급(참여대학원생 중 60% 이
상 지원학생으로 선정)
ㅇ 학석사, 석사과정 100만원/월, 박사과정 160만원/월, 박
사수료 130만원/월 이상 장학금 지급
ㅇ 석/박사 과정의 우수한 연구 결과를 위하여 안정된 연
구비 지급
■ 우수 석/박사 과정 대학원생 인센티브 제공
ㅇ 국내외 학술발표대회에서 우수논문 발표상 수상 시
ㅇ 국내외 학술지 논문 게재 시
- 14 -
주관학과
(사업단/팀)
사업목적
장학금 수혜대상 및 조건
■ 국내외 학술대회 논문발표 참여시 참가 비용 지급
ㅇ 학술대회 논문 발표시 제반비용(항공료, 호텔, 기타 비용) 지급
미래융합
공학과
(친환경
미래자동차
소재 부품
공정 창의
인재 양성
사업단)
문의:
(041)
521-9241
ㅇ 친환경 미래 자동차 기술을
위한 소재/부품/공정 분야
창의 인재 양성
ㅇ 소재/부품/공정분야 융합을
통한 전문화된 글로벌 인재
양성
ㅇ 미래 자동차 기술의 5대 특화
연구 분야 (이차/연료전지,
경량 소재, 지능형 전장, 내
/외장 부품, 공조/냉각 시
스템) 연구 역량 향상
ㅇ 산학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학생 취업 지원 및 산학
공동 연구
■ 4단계 BK21 사업 참여 대학원생 연구장학금 지원
ㅇ 미래융합공학과 대학원생중 4단계 BK21 참여 대학원생을 장
학생으로 선발하여, BK21 플러스 연구장학금 지원
(석사과정 100만원/월, 박사과정 160만원/월, 박사수료 130만원/월 이
상 장학금 지급)
■ 우수 석박사 과정 대학원생 인센티브 제공
ㅇ SCI급 우수논문을 게재한 대학원생에게 추가 인센티브 지급
■ 국내 및 국제 학회 참가 및 발표 지원
ㅇ 참여대학원생 중 우수한 연구결과를 국내 및 국외 학회
에 참석하여 발표할 수 있도록 사업비 내에서 국내 및
국제 학회 참가 경비 지원
■ 전문 교육 프로그램 및 세미나 참가 지원
ㅇ 연구 프로젝트형 과제, 제조장비 및 분석기기 실습 등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세미나 참가 지원
교육학과
(미래형
교육자치를
위한
지역교육
전문 인력
양성 사업팀
문의:(041)
850-0836
ㅇ 미래교육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시대적 요구에 적합
한 학교-지역-정책 연계
역량을 갖춘 융합적 지
역교육 전문인력의 양성
ㅇ 지역 기반의 교육 역량 강화
ㅇ 지역기반 교육이라는 새로운
연구영역의 개발 및 확산
ㅇ 지역기반 교육‧연구 네트
워크 강화
■ 전일제 대학원생에 대한 장학금 및 연구비 지원
ㅇ 매월 석사과정 100만원, 박사과정 160만원, 박사수료
130만원 장학금 지급
ㅇ 논문 게재료 지원 (사업팀 규정 범위 내 지원)
ㅇ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시 참여 경비 지원
■ 연구역량 강화 지원
ㅇ 연구방법론 등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지원
ㅇ 해외 단기 연수 지원
■ 국내외 교육 및 연구기관과의 연계 협력
ㅇ 관련 기관과의 협력 체계를 통해 현장밀착형 연구 지원
ㅇ 관‧산‧학 협력 연구 지원
ㅇ 해외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
신소재공학과
(4차산업용
첨단소재
인력
양성팀)
문의:
(041)
521-9372
ㅇ 4차산업 시대를 주도하는
세계적 첨단소재 전문인력
(World Leading e-BRAIN) 양성
ㅇ 4차산업과 첨단소재 고
급 지식을 갖춘 전문적이
고, 창의적이며, 글로벌
감각을 지닌 인재 양성
ㅇ 반도체/디스플레이용 첨단
소재, 전기자동차용 첨단
소재, 4차산업용 미래 소재
인재 양성
■ BK21 사업 참여 대학원생 연구장학금 지원
ㅇ 매월 석사과정 100만원, 박사과정 160만원, 박사수료
130만원 이상 장학금 지급
ㅇ 참여대학원생 중 재학 중 우수논문을 게재한 대학원생
에게 우수논문 장학금 지원
■ 국내 및 국제 학회 참가 및 발표 지원
■ 전문 교육 프로그램 및 세미나 참가 지원
ㅇ 첨단기기분석, AI, TRIZ, 특허, 논문작성 등 전문 교육 실시
ㅇ 외부 전문가 초청세미나, 연구교류회
- 15 -
□
3
외국인 유학생 보험 가입 <보험 가입 문의: 1577-1000>
1) 국민건강보험 당연 가입
- 정부 방침에 따라 한국 내 6개월 이상 거주하는 외국인 유학생은 건강보험 의무 가입
- 보장 기간: 입학 시점 ~ 졸업 시까지
- 보험료: 매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책정되는 보험료 납부
※ 보험 미가입자의 경우, 각종 장학금 수령 제한, 비자 업무 불가 및 유학생 프로그램 참여에 불이익이 있음
외국인 유학생 지원
1)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 출입국 민원 서비스(외국인 등록, 체류자격 등), 학사 및 장학금 제도 안내, 건강보험,
캠퍼스 투어 등 전반사항 안내
2) 외국인 유학생 지원 프로그램
- 글로벌 라운지(Global Lounge): 유학생활 적응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제공 및 각종
상담을 위한 외국인 유학생 전용 공간 운영
- 유학생활 지원 프로그램 운영: 외국인 유학생 지원단, 버디(Buddy) 프로그램, 문화
체험 프로그램 등
담당부서 및 학과 연락처
1) 담당부서
담당 업무
부 서
전화번호
(041-850-)
비 고
입학전형 관리
국제교류과
0862
https://oia.kongju.ac.kr
e-mail:intl_admission@kongju.ac.kr
외국인 비자, 표준입학허가서,
유학생 관리 등
국제교류과
8054
e-mail: ryeon921@kongju.ac.kr
한국어연수, 외국어프로그램 등
국제언어교육원
8867~8
http://iile.kongju.ac.kr
e-mail: kie151@kongju.ac.kr
성적, 학적 및 수강 신청
대학원지원실
8135
https://graduate.kongju.ac.kr/gr
e-mail: won101@kongju.ac.kr
등록금
재무과
8092
e-mail: bon402@kongju.ac.kr
동아리, 학생회 관리
학생복지과
8036~7
e-mail: bon201@kongju.ac.kr
장학금, 학생증 등
8048
재학, 성적 등 각종 증명서 발급
학생종합서비스센터
8023
e-mail: bon102@kongju.ac.kr
보건 진료
보건진료소
8830
e-mail: unihealth@kongju.ac.kr
- 16 -
2) 대학원 학과 사무실
캠퍼스
학과명
전화번호
(041-850-)
비고
공주
국어국문학과
8170
한국어교육학과
한문학과
8180
한문교육학과
영어영문학과
8360
https://eng.kongju.ac.kr
영어교육학과
8190
교육학과
8195
https://education.kongju.ac.kr/
사학과
8420
https://history.kongju.ac.kr
지리학과
8425
https://geography.kongju.ac.kr
경영학과
8430
https://business.kongju.ac.kr
특수교육학과
8210
중어중문학과
8380
https://chinese.kongju.ac.kr
금융통상학과
8390
https://in-trade.kongju.ac.kr
사회교육학과
8235
https://socialedu.kongju.ac.kr
사회복지학과
8460
https://socialwelfare.kongju.ac.kr
전자상거래학과
8255
역사교육학과
8230
https://historyedu.kongju.ac.kr
지리교육학과
8240
법학과
8445
https://law.kongju.ac.kr
유아교육학과
8960
문헌정보교육학과
8250
수학과
8560
https://apmath.kongju.ac.kr
물리학과
8480
https://dip.kongju.ac.kr
화학과
8490
http://chem.kongju.ac.kr
생명과학과
8505
https://bio.kongju.ac.kr
지질환경과학과
8510
http://geo.kongju.ac.kr
대기과학과
8530
http://atmos.kongju.ac.kr
환경과학과
8810
문화재보존과학과
8540
https://munbo.kongju.ac.kr
컴퓨터과학과
8820
https://comedu.kongju.ac.kr
수학교육학과
8260
물리교육학과
8270
https://physics.kongju.ac.kr
생물교육학과
8290
지구과학교육학과
8295
간호학과
0300
https://nurse.kongju.ac.kr
보건행정학과
0320
http://www.dhm.or.kr
응급구조학과
0330
http://emt.kongju.ac.kr
의료정보학과
0340
http://www.dmrhim.com
의류상품학과
8301
http://fashion.kongju.ac.kr
게임디자인학과
0350
http://game.kongju.ac.kr
체육학과
8330
체육교육학과
음악교육학과
8320
미술학과
8310
http://artedu.kongju.ac.kr
조형디자인학과
0360
https://homepage.kongju.ac.kr/sites/ZG0260/index.do
도자문화융합디자인학과
0370
https://ceramicdesign.kongju.ac.kr
만화애니메이션학과
0390
https://mongchi2020.cafe24.com
영상학과
0561
http://www.knuvis.com
동양학과
8133
관광경영학과
8670
https://tourism.kongju.ac.kr
글로벌정책학과
0810
http://dis.kongju.ac.kr
- 17 -
캠퍼스
학과명
전화번호
(041-330-)
비고
예산
지역사회개발학과
1380
http://rd.kongju.ac.kr
부동산학과
1400
http://realestate.kongju.ac.kr
조경학과
1440
http://la.kongju.ac.kr
식물자원학과
1200
http://pr.kongju.ac.kr
동물자원학과
1240
http://ars.kongju.ac.kr
원예학과
1220
http://hort.kongju.ac.kr
산림과학과
1300
http://forest.kongju.ac.kr
식품영양학과
1460
http://fan.kongju.ac.kr
특수동물학과
1520
http://clas.kongju.ac.kr
외식상품학과
1500
http://fsmn.kongju.ac.kr
식품공학과
1480
http://food.kongju.ac.kr
농공학과
1280
http://bme.kongju.ac.kr
생명기술융합학과
1460
http://fan.kongju.ac.kr
농생명바이오시스템학과
1200
http://pr.kongju.ac.kr
캠퍼스
학과명
전화번호
(041-521-)
비고
천안
정보통신공학과
9193~4
https://ict.kongju.ac.kr
기계공학과
9241
http://mech.kongju.ac.kr
건설환경공학과
9299
http://cee.kongju.ac.kr
도시융합시스템공학과
9298
http://use.kongju.ac.kr
화학공학과
9352
https://cheme.kongju.ac.kr
신소재공학과
9371~3
http://ame.kongju.ac.kr
건축학과
9328
http://archi.kongju.ac.kr
건축공학과
9327
http://archeng.kongju.ac.kr
컴퓨터공학과
9217
http://cse.kongju.ac.kr
소프트웨어학과
9216
전기전자제어공학과
9145
https://eece.kongju.ac.kr
환경공학과
9420
https://evr.kongju.ac.kr
산업공학과
9430
http://ie.kongju.ac.kr
광공학과
9440
http://optical.kongju.ac.kr
인공지능학과
9770
https://ai.kongju.ac.kr
에너지시스템공학과
9327
http://archeng.kongju.ac.kr
미래융합공학과
9241
http://fm.kongju.ac.kr
광공학․금형공학과
9245
https://metalmold.kongju.ac.kr
반도체공학과
9145
https://eece.kongju,ac.kr
캠퍼스
학과명
전화번호
(041-850-)
비고
통합의료관광디자인학과
8670
https://tourism.kongju.ac.kr
국제관광&한영통번역융복합학과
8970
https://tourismenglish.kongju.ac.kr
융합과학과
8560
https://apmath.kongju.ac.kr
물리교육학과
8270
https://physics.kongju.ac.kr
- 18 -
[서식 1]
구비서류 체크리스트
*
구비서류를 꼼꼼히 확인하신 뒤 체크리스트에 준비여부를 체크(ü)해주시기 바랍니다.
*
체크리스트를 완료하시면 다른 구비서류와 함께 국제우편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이름
생년월일
(YYYY-MM-DD)
국적
수험번호
지원 학위과정
학부
Undergraduate
□
석사
Master’s
□
박사
Doctorate
□
지원 학과
구분
서류
원본
사본
번역,
공증
아포스티유 확인
또는 영사 확인
확인
준비됨
준비안됨
공통
1. 지원서
1부
2. 자기소개서 및 연구계획서
(대학원 지원자들만 제출)
각1부
학부
□
3. 어학능력입증서류
TOPIK, TOEFL, IELTS 등(유효기간 이내)
1부
4. 학위증명서, 성적증명서
(학사 지원자: 고등학교 과정 졸업증명서,성적표)
(학사 편입 지원자: (전문)대학 졸업증명서 또는 수료증명서,
성적표)
(석사 지원자: 학사과정 졸업증명서,성적표)
(박사 지원자: 석사과정 졸업증명서,성적표)
한국 소재 대학을 졸업한 지원자는 아포스티유,
영사확인 불필요
원본 또는
사본 각 1부
원본 1부
5. 가족관계증명서
(영문번역 및 공증 필요)
가족관계증명서에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야 함
어머니와 아버지 중 한 명의 정보가 누락될 시
인정되지 않음
1부
1부
6. 지원자 여권 사본
1부
7. 은행 잔고증명서 (한화1600만원 이상)
국립공주대학교 국제언어교육원 및 한민족교육문
화원을 이수한 지원자는 한화 800만원 이상
1부
합격 후
제출
□
해당자에
한함
8. 국내 장기체류 외국인: 외국인 등록증
1부
국외체류
□
*모든 지원자들은 위의 구비서류 실물 서류를 국제우편으로 국립공주대학교 국제교류과에 제출해야 합니다.
*학위증명서, 성적증명서 사본을 제출할 경우 공증받은 후 아포스티유(원본) 또는 영사확인증명서(원본) 제출
*사본 서류는 판독할 수 있을 정도로 선명해야 합니다.(고해상도 복사)
*지원 서류의 글자를 판독하기 어려울 경우, 추가 서류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주 소
우)32588 충청남도 공주시 공주대학로 56 세종한민족교육문화센터 207호 국제교류과
- 19 -
[서식 2]
2025 Fall Semester Graduate School
Application for Admission(Freshmen)
(2025학년도 후기 대학원 외국인 신입생 입학지원서)
※ Please type or write clearly in Korean or in English (한글이나 영어로 명확하게 작성하세요)
1. Degree Program Applied for (지원 과정): ( ) Master's(석사) ( ) Doctorate(박사)
2. Department Applied for (지원 학과):
3. Name (성명) ※ Name on your passport (여권상의 이름)
▪ Korean(한글):
Last(성) First(이름)
▪ English(영문):
Last(성) First(이름)
▪ Chinese(한자):
4. Date of Birth(생년월일): / /
Year(년) Month(월) Day(일)
5. Foreign Registration No.(외국인 등록번호): -
※ Those who have been given Alien Registration Number in Korea must enter the number
(외국인등록을 한 적이 있는 지원자는 반드시 기재)
6. Birthplace(출생지):
7. Citizenship(국적):
8. Home Address(본국 주소):
9. Sex(성별): ( ) Male(남) ( ) Female(여)
10. Passport No.(여권번호):
11. Mailing Address(우편물 수령 주소)
※ If the mailing address is in Korea, please write in Korean and if it is abroad, please write in English
(국내 주소인 경우 한국어로 작성, 해외 주소인 경우 영어로 작성)
12. Contact Information(연락처)
▪ Phone(전화): ▪ Mobile Phone(핸드폰):
▪ E-mail :
※ E-mail address is the main way to contact you, so please write your e-mail address clearly
(주요 연락 수단이므로 수신 가능한 이메일을 정확히 기재)
13. Current Residence(현재 거주지)
( ) Korea(한국) ※ Visa Status(체류자격):
( ) Overseas(해외) ※ Country(체류국):
PHOTO
HERE
(3.5×4.5cm)
- 20 -
14. Proficiency in Korean or English Language (한국어 또는 영어 구사능력)
▪ TOPIK(한국어능력시험) 3급 이상 / Above TOPIK LEVEL 3 ( )
▪ TOEFL(PBT 530점 이상, CBT 197점 이상, IBT 71점 이상) / Above 530 on the TOEFL PBT, 197 on the
CBT, 71 on the iBT ( )
▪ IELTS 5.5 이상 / Above 5.5 on IELTS ( )
▪ TOEIC 700 이상( )
▪ CEFR B2 이상 / Above B2 on CEFR ( )
▪ NEW TEPS 326점 이상 ( ) / Above 326 on NEW TEPS ( )
▪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교육기관의 한국어과정 3급 이상( ) / completed a regular Korean language course of
level 3 or higher at a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 affiliated with a Korean university in Korea ( )
▪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 3단계 이상 이수/ completed Korea Immigration & integration program level 3 or higher( )
▪ 세종학당 한국어 과정 중급1 이상 수료( ) / completed Intermediate1 or higher at King Sejong Institute’s
Korean language program (Sejong hakdang)( )
▪ 영어 모국어(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아일랜드, 뉴질랜드, 남아프리카공화국 국적 소지자)( ) / English mother
tongue or official language of the country is English
▪ 기타(etc)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5. Academic Information(학력사항)
Bachelor's Degree(학사 과정) or Master's Degree(석사 과정)
▪ Name of Institution(학교명):
▪ Department(학과):
▪ Degree Granted or Expected(학위):
▪ Period Attended(재학기간): from (yyyy/mm/dd) to (yyyy/mm/dd)
▪ Address of Institution(학교주소):
▪ Web site(홈페이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Phone(전화):
▪ E-mail(이메일):
▪ Fax(팩스):
I certify that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is application is true and complete to the best of my knowledge, and I
understand that any inaccuracy and falsification may affect my admission including its cancellation after enrollment.
(상기 내용은 사실과 다름이 없으며 만약 허위로 판명되었을 때는 입학 허가가 취소되는 것에 대하여 이의가
없음을 확인합니다.)
Application Date(원서 접수일): 20 . . .
Applicant's Signature(지원자 서명)
Agree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and process unique information (∨ in the corresponding column)
개인정보 제공 및 고유식별정보 처리 동의(해당란에 ∨표)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개인정보의 수집·이용)
개인정보보호법 제24조(고유식별정보의 처리제한)
Consented(동의) □ / Unconsented(미동의) □
Consented(동의) □ / Unconsented(미동의) □
․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 국립공주대학교 대학원 입학전형업무 등
․ 수집하려는 개인정보의 항목 ⇨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연락처(핸드폰) 등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입학전형기간 동안
Registration
No.
수험번호
※
Signature
접수자인
- 21 -
[서식 3]
Self Introduction
(자기소개서)
○ Degree applying for(지원과정):
○ Department applying for(지원학과):
○ Name(in full)(성명):
20 Year(년) Month(월) Day(일)
Applicant's Name(지원자 성명): (Signature)((서명 또는 날인)
* You must write down in Korean or English(반드시 한글 또는 영어로 작성하여야 함)
- 22 -
[서식 4]
Research Plan
(연구계획서)
○ Degree applying for(지원과정):
○ Department applying for(지원학과):
○ Name(in full)(성명):
20 Year(년) Month(월) Day(일)
Applicant's Name(지원자 성명): (Signature)((서명 또는 날인)
* You must write down in Korean or English(반드시 한글 또는 영어로 작성하여야 함)
- 23 -
[서식 5]
Affidavit of Financial Support
(유학경비 부담 서약서)
o Applicant(지원자)
Name(성명)
Sex
(성별)
Date of Birth
(생년월일)
Nationality
(국적)
Program
(지원과정)
학부
Undergraduate
□
석사
Master’s
□
박사
Doctorate
□
Applying Department
(지원 학과)
o Please write the name of the sponsor to provide all the funds during applicant's studies
* 귀하의 유학경비를 부담할 개인이나 기관명을 쓰시오
- Name of Guarantor(보증인의 이름):
- Relationship with the Applicant(관계)
※ Check a relationship for your financial support ※ 해당하는 곳에 체크하세요
본인
(Self)
□
아버지
(Father)
□
어머니
(Mother)
□
형제 또는 자매
(Brothers or Sisters)
□
지도교수
(Academic Advisor)
□
- Occupation(직업):
- Address(주소):
- Phone Number(전화번호):
I hereby sponsor the above applicant all the funds including tuition & fees, living expenses,
medical insurance and other miscellaneous expenses during his/her studies.
* 본인은 상기 지원자의 유학기간 중 일체의 경비 부담을 보증합니다.
20 Year(년) Month(월) Date(일)
Guarantor's Name(보증인 성명): (Signature)(서명 또는 날인)
- 24 -
[서식 6]
Confirmation Letter for Prearranged Financial Support
(재정지원 예정 증명서)
o Applicant(지원자)
Name(성명)
Sex
(성별)
Date of Birth
(생년월일)
Nationality
(국적)
Program
(지원과정)
학부
Undergraduate
□
석사
Master’s
□
박사
Doctorate
□
Applying Department
(지원 학과)
o Information of Financial Support(관련 정보)
과제명(Research Title)
연구책임자(Research Director)
연구기간(Research Schedule)
연구비(Amount of research expenses)
지원예정액(1년 기준)
(Yearly Amount of Prearranged Financial Support)
e.g.16,000,000원
I hereby confirm that I will be responsible for the stated amount for the above applicant.
* 본인은 상기 지원자에 대하여 명시된 금액을 지원할 예정임을 확인합니다.
20 Year(년) Month(월) Date(일)
Prospective Advisor 지도예정교수
Department 소속학과
Name 성명
(Signature)
작성 유의사항 Precautions
※ 본 지원예정증명서는 1년 지급액 기준으로 작성됨 (The amount specified in the letter is on a one-year)
※ 장학금 총액이 KRW 16,000,000에 상당하지 않을 경우 부족금은 지원자가 은행잔고증명서 별도 제출
(If the total amount of the scholarship is less than KRW 16,000,000 the student is responsible for
funding the remainder. Bank Balance Certificate for the remaining amount must be submitted)
※ 재정지원 예정 증명서의 금액은 실 지급되는 금액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The amount of
Confirmation Letter for Prearranged Financial Support may be different from the actual amount)
※ 본 서식6은 서식5와 함께 지도예정교수가 국제교류과로 직접 제출(내부행정망 이용)
(Form6 shall be submitted directly to the Office of International Affairs by the prospective advisor along with Form5)
32588 충청남도 공주시 공주대학로 56 세종한민족교육문화센터 207호 국제교류과
Tel: 041-850-0862
Email: intl_admission@kongju.ac.kr
Fax: +82-41-850-8158
※ 본 요강에 수록된 내용 중 일부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최종 원서접수 전 반드시 국제교류
홈페이지(https://oia.kongju.ac.kr)에서
입학안내-공지사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